티스토리 뷰
1. 자존감 (自尊感, Self-Esteem)
정의:
자존감은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존중하고 사랑하는 마음이에요.
즉, 내가 잘났든 못났든, 실수하든 성공하든 내 존재 자체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이에요.
특징:
- 외부 평가와 상관없이 나를 인정함
- 실수해도 스스로를 미워하지 않음
-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않고 자기 기준을 가짐
- 타인의 의견에 휘둘리지 않고 안정감 있음
예시:
"이번 일은 잘 못했지만, 나는 여전히 소중한 사람이야."
2. 자존심 (自尊心, Pride or Ego)
정의:
자존심은 남에게 무시당하지 않으려는 마음, 혹은 자기 능력이나 위치에 대한 긍지에 가까워요.
외부 평가에 민감하게 반응하고, 자존심이 상하면 감정이 크게 흔들릴 수 있어요.
특징:
- 남의 평가에 민감함
- 비교를 통해 자신을 확인하려는 경향
- 상처받기 쉬움
- 체면, 인정 욕구와 연결됨
예시:
"내가 그런 말을 들을 사람이야? 절대 못 참지!"
간단 정리
구분 자존감 자존심
기준 | 내면(자기 자신) | 외부(타인의 시선) |
상태 | 안정적이고 지속적 | 불안정하고 흔들리기 쉬움 |
목적 |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존중 | 남들에게 무시당하지 않으려는 욕구 |
상처받을 때 | "괜찮아, 다시 하면 돼." | "어떻게 나한테 그럴 수 있어?" |
[자존감을 키우는 6가지 방법]
1.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기
핵심 포인트:
잘난 점뿐 아니라 부족한 점도 있는 그대로 인정해요.
"내가 못하는 것도 있고, 그게 나야."
완벽하려고 애쓰지 말고, 지금의 나에게 괜찮다고 말해주세요.
실천 예시:
- 거울 보면서 "나는 지금 모습으로도 충분해"라고 말해보기
- 실수했을 때 스스로에게 "괜찮아, 누구나 실수해"라고 말해보기
2. 자기비판 대신 자기이해 연습하기
자존감이 낮을수록 자기비판이 심해져요.
"나는 왜 이것밖에 못 해?" → X
"내가 지금 왜 이렇게 느끼지?" → O
비난이 아니라 이해하려는 태도를 가져보세요.
실천 예시:
- 감정 일기 쓰기 (오늘 내가 느낀 감정을 판단 없이 적기)
- 힘들었을 때 스스로를 다독여주는 말 연습
3. 비교 멈추기 – 나만의 기준 만들기
남과 비교는 자존감을 갉아먹는 대표적인 습관이에요.
비교는 끝이 없고, 항상 나보다 잘난 사람은 있어요.
남과 비교 말고, 어제의 나와 비교해요.
실천 예시:
- 하루에 한 가지 ‘내가 잘한 점’ 기록하기
- SNS 줄이기 (필요하면 잠깐 끊기)
4. 작고 구체적인 목표 세우고 성취하기
작은 성공 경험이 자존감을 키우는 원동력이에요.
거창한 목표 말고, 오늘 당장 할 수 있는 걸 정하고 해보세요.
실천 예시:
- “오늘은 물 1.5L 마시기”
- “자기 전에 핸드폰 대신 책 10페이지 읽기”
- 하고 나서 "내가 해냈어!" 라고 스스로 칭찬하기
5. ‘NO’라고 말하는 연습하기
자존감이 낮으면 남 눈치 보느라 거절을 잘 못해요.
하지만 싫은 걸 참고 하면 결국 나 자신에 대한 존중이 깎여요.
거절은 이기적인 게 아니라 건강한 자기표현이에요.
실천 예시:
- 작은 일부터 “그건 좀 어려울 것 같아요” 말하는 연습
- 나를 우선순위에 두는 연습
6. 나 자신에게 친절하기 (셀프케어)
몸과 마음 모두 돌보는 게 중요해요.
나를 귀하게 대할수록 자존감도 자연스럽게 올라가요.
실천 예시:
- 맛있는 거 먹기, 산책하기, 좋아하는 음악 듣기
- 피곤할 땐 푹 자기, 힘들 땐 쉬기
- "내가 좋아하는 걸 해도 되는 사람"임을 기억하기
마무리 한마디
자존감은 "나는 존재만으로도 가치 있어"라는 믿음이에요.
이 믿음은 하루아침에 생기진 않지만, 작은 실천을 계속하다 보면 분명히 단단해져요.
자수성가한 미국의 부자 브라이언 트레이시도 "나는 내가 좋다. 나는 나를 사랑한다"라는 말을 가난한 시절부터
늘 했다고 합니다. 자신에 대한 사랑이 자존감의 첫걸음입니다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신뢰악용 및 통제
- 진정한 자신을 아는것
- 감정을 받아들이기
- 후회와 분노
- 대표성편향
- 성숙한 방어기제
- 자기반성과 성찰
- 긍정적 자기 대화
- 미성숙한 방어기제
- 자아보호
- 인지적 구두쇠
- 기초율
- 린다 문제
- 원시적 방어기제
- 정체성 혼미
- 모니터링 시스템
- 서로의 독립성
- 인지적 단순화
- 집중력 조절
- 상호결정론
- 자신을 아는것
- 신속한 접근성
- 신경증적 방어기제
- 온라인 그루밍
- 집중력 및 주의력
- 제임스 마샤
- 심리적 현상
- 직업적 정체성
- 상대방의 입장
- 디지털 성착취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